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설국열차 vs 브라질] 전쟁과 인간본성에 관한 영화분석, 감상후기

by insight7500 2025. 4. 5.
반응형

[설국열차 vs 브라질] 전쟁과 인간본성에 관한 영화비교, 감상후기

봉준호 감독의 설국열차와 테리 길리엄의 브라질은 모두 인간이 만든 시스템이 어떻게 인간을 지배하고 소외시키는지를 강렬하게 보여주는 영화들이다. 둘 다 각각 독특한 세계관과 스타일을 가지고 있지만 그 중심에는 공통적으로 ‘권력’과 ‘통제’, 그리고 그 안에서 무력해지는 개인이 있다. 영화를 보는 내내 불편함과 충격이 교차하지만, 동시에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를 돌아보게 만든다.

설국열차 - 폐쇄된 공간 안에서의 계급 사회

설국열차는 기후 재난 이후 지구를 벗어나 끊임없이 달리는 열차 안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열차는 단순한 생존 수단이 아니라, 하나의 작은 사회다. 맨 앞 칸에는 권력을 가진 자들이, 맨 뒤 칸에는 가난한 자들이 산다. 이 구조는 계급 시스템 그 자체다. 영화는 이 안에서 벌어지는 혁명과 그 한계를 보여준다.

영화의 주인공 커티스는 맨 뒤 칸에서 자라난 인물이다. 그는 억압과 착취에 저항하며 열차 앞쪽으로 나아간다. 하지만 열차를 지배하는 윌포드를 만나고 나서야 깨닫는다. 이 시스템은 처음부터 모든 것을 계산하고 설계한 통제된 세계라는 것을. 반란조차 시스템의 일부였다. 이 지점이 설국열차가 특별한 이유다. 단순한 영웅 이야기로 끝나지 않고, 우리가 믿고 따르던 ‘정의’와 ‘혁명’조차 권력을 유지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봉준호 감독은 열차라는 공간을 통해 인간의 본성과 권력의 이중성을 압축적으로 그려낸다. 제한된 공간, 닫힌 문, 선로 위라는 물리적 한계는 우리가 사는 세상의 구조적 제약을 상징한다. 이 영화는 단지 미래 사회를 그린 것이 아니라,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축소판이다.

브라질 - 유머와 악몽이 뒤섞인 디스토피아

브라질은 미래의 어느 관료주의적 사회를 배경으로 한다. 이 사회는 서류와 규칙, 행정 절차로 모든 것을 통제한다. 영화의 주인공 샘은 단순한 서류 실수 하나로 인해 끔찍한 일에 휘말리게 된다. 그는 꿈속에서 날아다니는 영웅이지만, 현실에서는 무기력한 사무직원이다. 이 영화는 전체주의의 공포를 매우 기이하고, 때로는 웃기기까지 한 방식으로 묘사한다.

테리 길리엄 감독은 과장된 세트와 기묘한 인물들, 유머러스한 상황을 통해 억압의 공포를 더욱 강하게 전달한다. 이 영화에서 가장 무서운 점은, 아무도 악의적으로 행동하지 않지만 시스템이 스스로 악이 된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그저 일을 하고 규칙을 따르는데, 그 안에서 누군가는 죽고, 누군가는 사라진다. 이 비정한 현실을 감독은 유쾌하면서도 잔인하게 풀어낸다.

브라질은 단순한 반유토피아 영화가 아니다. 꿈과 현실, 자유와 통제를 교묘하게 오가며 관객에게 질문을 던진다. '우리는 누구를 위해 이 시스템을 유지하는가?' 그리고 '그 시스템은 우리를 지켜주는가, 억압하는가?' 영화가 끝난 뒤에도 이 질문은 오랫동안 머릿속에 남는다.

두 영화의 공통점 - 시스템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설국열차브라질은 시대와 배경은 다르지만, 모두 체제의 모순과 개인의 무력함을 다룬다. 설국열차는 계급 구조가 고착된 공간에서의 생존과 저항을 이야기한다면, 브라질은 복잡한 행정 체계가 인간성을 어떻게 파괴하는지를 보여준다. 두 영화 모두 그 시스템이 '누군가'를 위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유지하기 위한 존재로 변질되었다는 점을 드러낸다.

또한 두 주인공 모두 처음엔 이상을 꿈꾸지만, 결국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구조에 압도당한다. 커티스는 열차를 멈추기 위해 희생을 택하고, 샘은 꿈속에서만 자유롭다. 이 결말들은 씁쓸하지만, 오히려 진실에 가깝다. 세상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하지만 영화는 묻는다. ‘그래도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

이 두 편의 영화는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메시지를 가진다. 설국열차가 정면으로 구조를 부수려는 외침이라면, 브라질은 그 구조 안에서 미쳐가는 인간을 보여준다. 둘 다 다른 방식이지만, 결국 우리에게 묻고 있다. ‘당신은 지금 어떤 시스템 안에 살고 있는가?’

 

영화감상후기

《설국열차》는 처음 봤을 때보다 두 번째, 세 번째 볼수록 더 많은 걸 느끼게 되는 영화였다. 처음엔 단순히 액션이 많은 SF영화라고 생각했는데, 보면 볼수록 그 안에 담긴 사회적 메시지나 상징들이 눈에 들어온다. 특히 열차의 구조 자체가 계급사회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는 설정은 정말 강렬했다. 맨 뒤칸 사람들의 더러움, 혼잡함, 절망감이 생생하게 느껴졌고, 앞칸으로 갈수록 점점 '정제된' 분위기로 바뀌는 연출도 정말 인상 깊었다.

커티스라는 캐릭터가 처음엔 그냥 ‘히어로’처럼 보였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인간적인 갈등이나 과거에 대한 후회가 드러나면서 더 입체적으로 다가왔다. 마지막 장면에서 열차 밖 세상을 향해 나아가는 장면은 단순한 희망보다는 복잡한 감정을 줬다. 뭔가 불안하지만 동시에 그래도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느낌이랄까. 시스템 안에서 살아남느냐, 무너뜨리고 새로 시작하느냐는 질문이 계속 머릿속에 맴돈다.

봉준호 감독 특유의 유머와 비판이 절묘하게 섞여 있어서 무거운 주제지만 지루하지 않았다. 또 틸다 스윈튼 같은 배우들의 독특한 연기 덕분에 영화가 훨씬 더 풍성해졌다. 처음 봤을 땐 그냥 ‘좋은 영화’라고 생각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자꾸 다시 보고 싶어지고, 볼 때마다 새로운 생각이 드는 영화다. 시스템이라는 게 얼마나 무섭고, 우리가 거기에 얼마나 익숙해져 있는지를 진지하게 돌아보게 만든다.

《브라질》은 처음 봤을 때 정말 당황스러웠다. 영화가 보여주는 세계가 너무 기괴하고 어수선해서 도대체 이게 무슨 이야기인지 따라가기 어려웠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다 보고 나니 계속 생각나고, 며칠 동안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다. 현실과 꿈이 뒤섞인 느낌, 과장된 배경과 인물들, 그런 것들이 처음엔 불편했지만, 시간이 지나니까 감독이 일부러 그렇게 만든 이유가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주인공 샘이 점점 미쳐가는 과정이 너무 생생하게 느껴졌다. 작은 행정 실수 하나가 그의 삶 전체를 망가뜨리는 과정은 황당하지만, 동시에 우리도 어쩌면 그런 세상 속에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요즘도 어디서든 ‘규칙’이나 ‘시스템’ 때문에 이상한 일을 겪는 일이 많잖아. 그런 점에서 브라질은 지금 봐도 정말 현실적인 영화라고 느꼈다.

그리고 이 영화의 엔딩은 정말 잊을 수 없다. 샘이 결국 자유를 찾은 듯 보이지만, 그게 사실은 그가 정신적으로 도망친 꿈이라는 걸 알게 됐을 때, 정말 먹먹해졌다. 우리는 늘 자유를 꿈꾸지만, 그 자유는 현실에서 너무 멀리 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테리 길리엄 감독이 왜 이런 방식으로 이야기를 했는지도 이제는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규칙, 질서, 시스템, 그런 것들이 인간을 얼마나 무력하게 만드는지를 정말 독특한 방식으로 보여준 영화였다.

솔직히 말하면 보기 쉽거나 재밌는 영화는 아니다. 하지만 한번 보면 절대 잊을 수 없는 영화다. 나 같은 사람한테는 인생영화 중 하나로 남을 것 같다. 웃기면서도 무섭고, 환상적인데 현실적이다. 브라질은 단순히 ‘재미있는 영화’를 넘어선, 생각하게 만드는 영화다.